교육학과의 목적은 이론과 실천을 바탕으로 교육의 가치를 성찰하고 미래교육을 설계할 수 있는 ‘사람’을 양성하는 데 있다. 이 목적 달성을 위해 교육학과는 학사학위, 석사학위, 박사학위, 석·박사통합학위 과정을 제공한다.
교육학과는 각 학위과정에 특화된 전공을 운영하는데, 학사학위과정에서는 민주시민으로서 갖춰야 할 기초능력과 미래 직업개발에 필요한 전공기반의 지식/역량/태도/가치를 학습할 수 있다. 석사학위과정에서는 중급수준의 연구수행 및 전공관련 직업개발에 필요한 지식/역량/가치/태도를 학습할 수 있다. 박사학위과정에서는 고급수준의 연구자격을 습득할 수 있으며, 미래 연구자로서 가져야 할 독창적 연구역량을 학습하여 교육학 영역의 지식생산에 기여할 수 있다.
일반대학원(석사/박사학위과정 및 석·박사통합과정)은 9개의 세부전공으로 특화되어 있다. 세부전공(가나다 순)은 교육공학/멀티미디어교육/설계, 교육과정, 교육사회/평생교육, 교육상담/상담심리/진로상담, 교육심리, 교육철학/교육사, 교육평가, 교육행정/경영/정책/재정, 학교심리다. 교육대학원은 학교교육재구성(재교육과정), 상담심리(양성과정) 세부전공에서 석사과정을 운영한다. 각 학위과정을 성공적으로 이수한 졸업생은 자신의 재능과 관심 영역에 맞춰 교육실천가, 교육연구자, 교육행정가로 진출하여 지역/국가/세계 공동체의 변화와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.
교육목적
- 이론과 실천을 바탕으로 교육의 가치를 성찰하고 미래교육을 설계할 수 있는 ‘사람’ 양성
인재상
- 지역사회 요구와 교육환경 변화에 대처하고 교육문제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사람
- 교육의 가치와 방향을 성찰하고 개인과 공동체의 행복한 삶을 설계할 수 있는 사람
- 신뢰와 소통 그리고 협력을 바탕으로 상호존중하는 교육공동체를 이끌 수 있는 사람
세부인재상 및 전공능력
세부인재상 | 전공능력 | 전공능력 정의 |
---|---|---|
교육현장의 삶을 존중하는 교육실천가 |
교육현장 이해 능력 | 학습자와 교수자의 특성 및 교육현장을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 |
교육계획 및 실행 능력 | 다양한 교육현장에서 학습자의 잠재력을 최적화할 수 있는 교육계획 및 실행 능력 | |
비판적 사고력과 창조적 문제해결력을 갖춘 교육연구자 |
교육이론 비판 능력 | 교육학 이론을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사고하여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 |
교육문제 분석 능력 | 이론을 바탕으로 교육문제를 발견하고 분석하여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 | |
교육환경의 혁신을 추구하는 교육행정가 |
교육환경 이해 능력 | 교육환경의 과거와 현재를 고찰하고 문제를 규명할 수 있는 능력 |
교육환경 설계 능력 | 미래사회의 요구 및 변화를 인식하여 교육환경을 혁신할 수 있는 능력 |
교육학과 졸업생의 진로분야
세부인재상 | 학사 | 석사 | 박사이상 |
---|---|---|---|
교육연구자 | 빅데이터전문가 여론조사분석가 | 교육학 전공 대학강사 교육관련 국책연구기관 연구원 (한국교육개발원, 한국교육과정평가원, 한국교육학술정보원, 한국직업능력연구원,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등) 빅데이터전문가 여론조사분석가 교육부/교육청의 교육연구사 및 교육연구관 |
|
- | 교육학 전공 대학강사 및 교수 | ||
교육실천가 | 고객서비스 교육강사 교육애니메이션 개발자 교육용품 마케터 교재 및 교구개발자 논술지도사 대안학교 교사 레크레이션강사 리더십 전문 강사 방과후 아동지도사 방송프로듀서 사이버학습지 교사 소년원학교 교사 인적자원개발 컨설턴트 잡지 및 신문기자 직업상담사 직업체험 플래너 창업컨설턴트 출판물기획자 평생교육사 |
입학사정관 청소년상담사 |
- |
시민교육단체 활동가 노인교육전문 강사 보육교사 부모교육 강사 상담교사 아동심리상담사 유치원교사 이러닝교수 설계자 취업지원관 중등학교 교사 커리어코치 학습지도사 및 코치 |
|||
공공기관/기업체/시민교육단체 교육강사 | |||
교육행정가 | 교육행정공무원 장학사 교도관리자 인사관리자 대학 조교 공공기관 교육담당직원 |
각종 교육행정기관 책임자 기업체 인력개발부서 책임자 시민교육단체 책임자 |